[알랭 드 보통] 영화 명대사 같은 그의 인생 철학

 

'알랭 드 보통'

 


#알랭 드 보통 - 그가 이야기하는 인생 철학


 

빡빡머리에 선한 눈을 가진 알랭 드 보통

 

동네 삼촌 냄새 뿜뿜!

 

알랭 드 보통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어떤 분들에겐 생소한 이름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럼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은 들어보셨나요?

 

그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결합하여 사랑 앞에 놓인 인간 관계를 절절하게 써놓은 책인데, 베스트셀러까지 등극하며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책입니다.

 

이 말고도 '여행의 기술', '불안', '행복의 건축' 등등 여러 책들이 전세계적으로 사랑 받으며 세계적인 작가 중 한 명으로 뽑히는 알랭 드 보통이죠.

 

사람들이 그의 책에 열광하는 이유는 모두가 공감할만한 우리들의 일상 속에서 촌철살인같은 굳건한 인생 철학을 다루기 떄문입니다. 고리타분한 교과서적인 철학이 아닌, 실제 우리 인생에 접목되는 생활 철학들을 책에서 다룸으로, 우리는 알랭 드 보통의 글을 통해 생활의 지혜를 얻죠.

 

그는 책이라는 소통 통로만이 아닌, 트위터를 통해서 자신의 생각들을 이야기하곤 하는데, 오늘 저는 그의 트위터에 남긴 영화 명대사와도 같은 인생 철학들을 가지고 와봤습니다.

 

"외로움이란 전염병은 외로움을 치료하려면 로맨틱한 연애를 해야한다는 잘못된 생각에 의해 만들어진다"

 

-알랭 드 보통-

 

"나폴레옹이 이르길,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너는 그들이 스무살이였을 때 세상이 어떻게 보였는지 이해해야 한다."

 

-알랭 드 보통-

 

"적들을 얻는다는 것은 인생이 잘못된 길로 가고 있다는 표시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몇가지 신념을 더 갖게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알랭 드 보통-

 

"비슷함은 두 사람의 관계를 가깝게 해준다.

 

그러나 차이를 다루는 방식만이 그 둘의 관계를 유지시켜준다."

 

-알랭 드 보통-

 

"직장에서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는 방법은

 

회사가 의지할 정도로 도움되지도 말되, 너가 해고될만큼 쓸모없지도 말라."

 

-알랭 드 보통-

 

"실패자의 정의 : 다른 사람의 실패를 필요로 하는 사람"

 

-알랭 드 보통-

 

"누군가를 보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것은 슬프게도 네가 너의 머릿 속에서 그들을 몰아낼 수 있다는 것을

 

언제나 보장하지는 않는다."

 

-알랭 드 보통-

 

"허무맹랑한 소리를 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멍청한 사람들은 가지지 못하는)

 

나쁜 생각보다는 좋은 생각들을 쳐내기 마련이다"

 

-알랭 드 보통-

 

"꽃, 아름다운 하늘, 그리고 평범하고 지루한 날들을 느끼기 위해선,

 

당신은 인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어야만 한다."

 

-알랭 드 보통-

 

"다른 사람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두려움 : 기억하라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별로 없고,

 

오직 몇몇만이 당신을 싫어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신을 신경쓰지도 않는다."

 

-알랭 드 보통-

 

"행복 : 성취한 야망과 나타날 야망 사이에 존재하는 축복받은 10분"

 

-알랭 드 보통-

 

"도덕성의 근원은 항상 우리가 잃어버리는 질문들에 있다.

 

만약 그것이 너의 아이였다면? 만약 그것이 너라면?

 

-알랭 드 보통-

 

알랭 드 보통은 사람들이 성공한 직업을 원하는 것은 욕심이 많아서도, 돈을 많이 벌려는 것도 아니고, 그저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어서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행복에 대해 더이상 일과 사랑에서 찾지 말고 주관적인 기준에서 나만의 행복을 찾는다면 일과 사랑도 당신을 힘들게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을 해주죠.

 

어떠신가요? 그의 인생 철학 속에서 공감되는 말들이 좀 있으셨나요? 우리의 촌철살인 뿜뿜 브로! 알랭 드 보통! 저 역시 포스팅하면서 또 한 번 인생에 대해 배워가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럼 20000!

 

 

여러분들의 공감 클릭 하나 하나가

 

제 자신감을 붐 업시켜주는 큰 응원이 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